투자일기 27

SCHD ETF가 하락하는 이유 (경기침체)

안녕하세요 서른일기입니다. 한주 다들 잘 보내고 계신가요. 오늘은 SCHD ETF에 관한 이야기를 한번 해볼까 합니다. 요즘 연일 SCHD ETF에 주가가 시원치가 않습니다. 5월 31일 기준 현재 SC의 주가는 70.16$에 형성이 되어있는데요. 올해 23년 2월 2일 78$ 기준으로 5월 31일 기준으로 70$까지 내려와있는 상황입니다. 저번 영상에서 SCHD는 지속적으로 하락될거같다는 이야기를 했던거 같은데요. 그때 하반기에 적극적으로 SCHD를 매수하자는 취지로 영상을 올린적이 있습니다. 당시 그 영상을 보면 SCHD ETF가 급락하지 않는 이유를 생각해봤을때 상위 탑 텐 기업들의 포진되어있는 코카콜라나 애브비 펩시코 시스코시스템즈 등의 주가가 잘 버티고 있었고, 작년 하반기부터 제조업지표들이 꺽..

투자일기 2023.05.31

장기채권 투자 계속 해야하는 이유 (경기침체 언제오냐..)

안녕하세요 서른일기입니다. 벌써 금요일 밤입니다. 현재시각 11시 59분 기준으로 미국 10년물국채금리는 3.71 20년물은 4%를 넘겼고 30년물은 3.94로 이번주는 미국국채금리가 계속 상승하면서 계좌에 들어있는 저의 TLT도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계좌가 계속 쪼그라들고 있는상황입니다. 우선 장기국채금리가 상승하는 이유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이게 귀에걸면 귀걸이고 코에 걸면 코걸이기이기때문에 사실 왜 오르고 내리고 이런 단기적 전망에 엄청 크레딧을 줄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래도 이야기를 해보자면 먼저 부채한도 협상이 긍정적으로 합의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입니다. 사실 공화당 입장에서는 부채한도 협상 이슈가 민주당의 지지율을 낮추는 아주 좋은 무기여서 더 완강하게 부채협상을 질질끌면서..

투자일기 2023.05.20

미국 경기침체 (지역은행 파산)

안녕하세요 서른일기입니다. 한주 잘 보내고 계신가요 ? 5월 3일 간밤에 미국증시가 엄청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현재 시각 12시 53분으로 다우가 1.7% S&P500이 1.7% 나스닥이 1.35% 러셀 2000은 거의 3% 하락을 하고 있습니다. https://youtu.be/dK8taPnOruc 반면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4% 하락중이고 20년물은 2.9% 그리고 30년물은 2.57%입니다. 그리고 TLT 미국 20년물 ETF는 2.3% 수익을 기록하고 있고 TLT의 세배 레버리지를 추종하 고 있는 TMF는 6.29% 수익을 기록하면서 5월 2일 하락했던 부분을 다시 말아올렸습니다. 5월 2일자 발표된 미국 노동부에서 발표하는 JOLTs 구인 이직 보고서 발표가 나왔는데요. 예측치 9..

투자일기 2023.05.04

미국 장기국채 TLT에 투자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서른일기입니다. 오늘은 제가 TLT를 투자하는 이유에대해서 한번 이야기해보도록 하려고 합니다. 먼저 보시는 표는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달걀인데요 현재 상황은 금리 정점에 있어서 채권투자를 시작해야하는 타이밍이고 점점 금리 정점에서 하락하는 부분에 채권을 매도하고 금리가 저점을 찍고나면 주식투자로 옮겨야 하는 아주 간단한 이론입니다. 사실 이것만 봐도 지금은 채권투자를 꼭 해야하는 것이죠. 임박한 경기 침체에 대한 투자참 위험하기도 하고 경기 침체를 예측하는 것 또한 굉장히 어렵습니다. 경제에는 정말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2001년의 리쎄션 이후로 일관되게 경기침체를 나타내는 시그널들이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첫번째료 경제 성장이 낮아지고, 실업이 증가하고, 소비자 지출이 감..

투자일기 2023.04.22

내가 부동산 투자에 집착하지 않는 이유 (리츠투자)

안녕하세요 서른일기입니다. 오늘은 개인적인 리츠에 대한 생각을 한번 이야기 해볼까 하는데요. 이런얘기를 하면 정말 욕을 할수도 있겠지만 저는 우리나라에서 부동산투자를 하는거보다는 리츠에 투자하는게 더 낫다고 생각을 합니다. https://youtu.be/UrQ43hlmca8 여기서 투자라고 하는 개념은 실거주용으로 아파트를 사서 거주하는게 아닌 건물을 임대하면서 투자를 하는 것을 말하구요. 예를들어 신혼부부 혹은 다자녀를 두고 있는 가족이라면 국가에서 지원하는 저금리로 레버리지를 일으켜서 실거주용 아파트를 사는것은 정말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왜냐하면 그만큼 싸게 집을 살수 있기 때문이죠. 먼저우리나라에는 부동산 불패라는 인식이 굉장히 크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임대사업을 하면서 성공적으로 투자하시..

투자일기 2023.04.20

찰스슈왑 위기 (매도자가 밝혀졌다)

안녕하세요 서른일기입니다. 다음주 실적발표를 앞두고 있는 찰스슈왑의 현재까지의 상황에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에 GQG Partners라고 하는 찰스슈왑의 지분을 1%정도 가지고 있던 투자기관이 지난 달 은행위기 혼란 동안 슈왑의14억 달러 지분 전체를 매각했습니다. 블룸버그 데이터에 따르면 플로리다에 기반을 둔 투자 회사인 GQG Partners는 상위 15개 주주 중 찰스슈왑의 지분을 1%의 보유하고 있었으며 의미가 있는건 이 투자회사는 찰스슈왑의 그렇게 많은 지분을 가진 유일한 액티브 펀드 회사입니다. 먼저 GQG가 미실현 손실에 대한 우려와 예금의 이익을 저해하는 움직임이 중개업의 미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지분을 매각했다고 하는데요. GQG Partners의 ..

투자일기 2023.04.16

경기침체에 대비하는 방법 (채권투자)

안녕하세요 서른일기입니다. 드디어 주말이네요 다들 한주 잘 보내고 계신가요. 이번달 CPI PPI 지수가 정말 잘 나왔습니다. 확실히 인플래이션이 점점 둔화되어가고 있다는 지표들이 확인이 되고 있는데요. 4월 12일 cpi 지수 발표 결과는 예측치 5.2%였는데 5.0%로 확연히 낮아진 수치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4월 13일PPI 미국 생산자물가지수는 예측치가 0.1%였는데 무려 -0.5%로 엄청나게 낮게 나왔는데요. https://youtu.be/F_RT6BlbpYk 생산자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쉽게 말해 제조업자가 판매한 상품의 가격 변동을 측정합니다. 전체 인플레이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비자 물가 인플레이션의 선행지표입니다. 좀 쉽게 비유를 하자면 PPI지수와 CPI..

투자일기 2023.04.15

금융위기로 추가할만한 금융주 3가지 추천

최근 미국에 은행파산들은 Silicon Valley Bank(SIVB)의 붕괴를 필두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은행은 파산하지 않았거나 심지어 파산에 가깝지도 않았습니다. 2022년 12월 SIVB는 50억 달러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전년 대비 총 대출은 12% 증가했습니다. 이 은행이 가지고 있었던 순 자산가치와 가지고 있는 유형 재산은 25% 증가했습니다. 그렇게 총 자산은 0.23% 증가했고 총 예금은 그저 8.5% 감소에 그쳤습니다. 실리콘 밸리의 붕괴는 뭐랄까요 생각해보면 파산 이 나오면 안되는 은행에서 비이상적인 상황에서 기인한 패닉 때문이었습니다. 그렇게 은행 경영진은 그 안전하다는 미국 10년물 장기국채 210억 달러를 매각하면서 18억달러의 손실을 입었죠. 대부분의 채권 중 많..

투자일기 2023.03.25

월배당 리얼티인컴 VS 분기배당 WP.Carey (미국리츠 분석)

안녕하세요 서른일기입니다. 한주 잘 보내고 계신가요. 오늘 한번 이야기해볼 주제는 리츠인데요. 리츠중에서도 우리가 많이 익숙하고 친숙한 기업이 월배당을 주고 있는 리얼티 인컴입니다. 사람들이 리얼티 인컴을 사랑하는 이유는 월마다 배당을 주고 있기 때문인데요. 그런데 혹시 리얼티 인컴만큼 유명하지는 않지만 정말 좋은 리츠상품이 있는데요. 그 리츠상품은 바로 WP. Carey라고 하는 리츠입니다. 오늘은 이 리츠인 리얼티인컴과 WP Carey를 한번 비교분석하면서 어떤 리츠가 더 투자하기 좋은지 한번 알아보는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쨰 리얼티인컴을 보기 위해 홈페이지에 있는 팩트시트를 들어가보았습니다. 참고로 2022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보고된 내용입니다. Company description을..

투자일기 2023.03.15

지금 채권을 매수해야하는 이유 (경기침체시 투자방안)

안녕하세요 서른일기입니다. 오늘 하루 잘 지내셨나요 오늘은 지속적으로 물가지수 발표들이 꺽이지 않고 상승세로 나타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 연준에서는 공격적으로 금리를 지속적으로 올릴것이라는 강한 스탠스를 보이고 있습니다. PCE 물가지수가 2%대로 내려올때까지 금리인상을 멈추지 않는다고 연준 파월의장은 강력하게 말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같은 개미투자자들은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투자를 해나가야할지 고민을 해봐야하는데요. 저번에 올린 영상중에서 지금은 주식보다는 채권을 적극적으로 매수해야하는 시기라고 이야기를 한적이 있습니다. 상단에 링크를 달아드릴테니 한번 보고 오시면 채권투자 메커니즘에 대해서 조금은 이해하시기가 편할겁니다. 사실 지금까지 많은 전문가들이 예측하기를 앞으로 미국의 경제가 연착륙할것인..

투자일기 2023.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