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일기

경기침체에 대비하는 방법 (채권투자)

KOOKIE ENGLISH 2023. 4. 15. 15:50

 

안녕하세요 서른일기입니다. 드디어 주말이네요 다들 한주 잘 보내고 계신가요. 이번달 CPI PPI 지수가 정말 잘 나왔습니다. 확실히 인플래이션이 점점 둔화되어가고 있다는 지표들이 확인이 되고 있는데요. 4월 12일 cpi 지수 발표 결과는 예측치 5.2%였는데 5.0%로 확연히 낮아진 수치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4월 13일PPI 미국 생산자물가지수는 예측치가 0.1%였는데 무려 -0.5%로 엄청나게 낮게 나왔는데요.

 

 

https://youtu.be/F_RT6BlbpYk

 

생산자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쉽게 말해 제조업자가 판매한 상품의 가격 변동을 측정합니다. 전체 인플레이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비자 물가 인플레이션의 선행지표입니다. 좀 쉽게 비유를 하자면 PPI지수와 CPI 지수를 놓았을때, PPI지수는 짜장면을 만들때 필요한 원재료라고 보시면 되고, CPI는 짜장면 가격이라고 보시면됩니다.

 

 

 

 

그렇다면 생산자 물가지수가 낮아진다면 향후 5월에 발표되는 4월 CPI지수는 더 낮아질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뭐 공식적으로는 그런데 현재 다시 원유감산으로 인해 석유가격이 올라가고 있어서 사실 섣부른 단기적 예측은 좀 모르겠지만 어쨋거나 장기적으로 인플래이션은 확실히 낮아지는 추세인건 맞는거 같습니다. 

 

 

 

 

 

또한 경기침체가 올것이라는 증거중에 하나는 부동산가격의 하락입니다. 2022년 6월을 기점으로 계속해서 부동산가격이 하락하고 있는데요. 앞으로 더 하락할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도래하는 상업용 부동산 부채 만기일이 도래하면 은행과 미국정부는 그 폭탄을 또 한번 돌릴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폭탄은 다른 시기에 더 거대하게 커져서 돌아오게 됩니다. 어쨋거나 한번은 어디선가 터져야 이 버블이 꺼질 수 있다는 이야기죠. 

 

 

3월 미국 고용보고서가 나왔습니다. 실업률은 예측치가 3.6%에서 3.5%로 낮게 나오면서 고용시장이 아직 탄탄하다는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우선 경기침체를 잘 반영하는 ISM제조업 지수는 보통 50 이하라고 하면 경기 수축국면이라고 하는데 작년 11월부터 50이 깨졌고 올해 3월치 발표는 46.3으로 계속 하락하는 추세를 그리고 있습니다. 미국은 제조업국가가 아니고 내수로 먹고살기 때문에 ISM 제조업 지수가 뭐가 중요하냐고 하냐면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S&P 500에 속해 있는 대부분의 기업들이 제조업에 연관된 회사들입니다. 서비스업은 그 제조업의 수혜를 받는 섹터입니다. 

 

 

 

 

표를보시면 ISM 제조업지수와 S&P 500주가 인덱스를 같이 비교한건데요. 거의 유사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죠. 또한 PMI 지수라고 하는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가 있는데요. PMI지수는 쉽게 말해서 구매관리자들 특히 자재 부장님들에게 경기가 좋아질까요 나빠질까요를 물어보고 나서 그 답을 모아 하나의 숫자로 표현한 지표라고 보시면됩니다.

 

 

 

이것은 제조업 부문 구매관리자의 활동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인데 이것이 50일 넘으면 경기확장을 나타내고 50 미만이면 경기 위축을 나타냅니다. 4월 3일에 발표된 PMI 지수는 예측치 49.3보다 49.2로 낮게 나왔는데요. 당연히 PMI와 ISM 지수는 같이 움직일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PMI와 S&P 지수의 상관관계는 거의 똑같다고 보시면됩니다. 누가봐도 너무 똑같지 않나요?

 

 

 

이미 FED의 3월 연준 회의록에서는 올해 말에는 경기침체가 올것이라고 이미 이야기를 한 상황인데요. 경기 침체이후 2년정도 회복기간이 걸린다고 이야기 하면서 이제 경착륙과 연착륙의 어떤 설왕설래가 의미가 없어지고 경기침체는 확실히 오는것으로 다들 인정하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상황은 앞으로 CPI PCE 물가지표들이 낮아지면 인플래이션이 점점 해소되는것으로 보아 FED에서는 이제 금리인상을 중단하고 금리인하로 들어간다고 예측을하죠. 문제는 사람들이 PCE 개인소비자 지출이 2%대로 들어오면 연준이 금리인하를 할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이미 주식시장은 그것을 다 선반영하고 떨어지지 않고 올라간다고 말을 하고 있는데요.

 

광고

 

왜냐하면 이미 우리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에 금리인하와 양적완화를 경험하고 그때 경기침체임에도 불구하고 주식시장은 그 정책이후 바로 엄청나게 올라갔던 경험이 있기 때문에 이 공식을 절대값으로 생각하는 거 같습니다. 그런데 사실 금리인하는 19년도 부터 내리고 있었고 금리인하가 선행된 이후에 20년도 코로나를 트리거로 경기침체와 주가하락이 나타났습니다. 무슨이야기냐면 금리인하라는 정책은 이미 FED가 경기침체가 발생할것을 알고 있는데, 시장충격을 덜 하기 위해서 선조치 하는 쿠션역할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 정책이 없다면 주식시장은 기존의 붕괴보다 더 깊은 하락을 하게 되겠죠. 2008년도 비슷합니다. 이미 2007년에 기준금리 인하를 하고 난 이후에 2008년 경기침체가 시작이 되었습니다.

 

 

표를 보시면 2007년까지의 S&P 500의 주가 그래프는 엄청 올라가고 있지만 기준금리가 시작된 2007년 이후 2008년부터 점차 하락을 시작하더니 2008년-209년에 엄청나게 하락을 한 모습을 보이고 있죠. 2020년도 비슷합니다 19년부터 금리인하를 시작하고 나서 주식시장은 계속 잘 올라가지만 그 이후에 20년에 엄청난 폭락이 왔다는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현재 왜 이렇게 모든 지표들이 좋지 않은데 주가들은 왜 오르냐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거 같습니다. 그리고 결국에 경기침체가 와도 주가는 안떨어지는거 아니야? 라고 생각하면서 아직까지도 주식으로 돈을 버는 주변 사람들을 보고 FOMO가 와서 결국 고점에 돈을 넣고 자산시장의 급락 이후에 정말 인생이 힘들어지는 것을 보면 개미들은 정말 기관들의 먹잇감이구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희는 절대 이런 역사적으로 똑같은 패턴에 정말 당하면 안되겠죠. 자본주의 시장은 감정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선량한 투자자들은 한번의 실수로 인생이 망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앞으로는 주가가 올라도 그것을 참아내는 인내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저의 개인적인 생각에는 FED는 경기침체가 오기를 바라는거 같습니다. 중국과 사우디 러시아 달러패권에 도전하는 위완화의 약진에 대해서 지금 참고 있는것을 보면 우선순위에서 인플래이션을 잡는 것이 더 우선순위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산가격이 내려가야 하죠. 그렇다면 현재 우리는 어떻게 이 시장을 대응해야할까요? 

 

 

 

바로 채권인데요. 이미 스마트하신 분들은 채권으로 자산을 많이 이동하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 10년물 채권금리는 3.5정도인데요. 올해 2-3월정도에 채권금리가 4를 넘어갈때 매수하신분들은 정말 많은 수익을 보고 있을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저는 저점에서 잡으려고 노력했지만 역시 타이밍 맞추기란 쉽지가 않은데요. 현재 지금 채권을 투자해도 너무 늦지 않은거냐라고 물어보시는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그런데 지금 3.5 기준으로 주식보다는 채권이 훨씬 더 기대수익률이 높다는 것에 저는 동의합니다. 그래서 저는 현재 채권 비중이 정말 높습니다.  미국의 달러지수가 내려가면서 달러약세와 환율이 내려가는것에대한 걱정이 있다면 우리나라에 10년물 국고채를 사는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시간이 지나면 10년물 금리가 2로 내려올것은 이미 너무나 명확한 사실이기 때문에 국채투자는 지금은 필수라는 이야기가 있죠. 그렇게 자산을 잘 지킨 이후에 경기침체 이후 급락하고 다시 ISM 지수 PMI 지수 실업률 지표들이 반등을 한다면 그때 다시 주식시장에 들어가도 늦지 않을거 같습니다. 

 

 

개미들은 주가의 저점을 맞출수 없습니다. 맞춘다고 해도 그것은 운에 불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돈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높은 확률에서 투자를 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주식에 물려 있으신분들은 현금을 계속 모아나가다가 더 큰 하락이 오고 나서 투자를 하는것이 앞으로 기대수익률을 높이는데 훨씬 도움이 될겁니다. 지금은 정말 투자하기 어려운 상황인거 같습니다. 다들 자신의 피같은 자산을 잘 지키시고 곧 다가올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시기를 바랍니다. 오늘도 시청해주셔서 감사드리고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구독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