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른일기입니다. 다음주 실적발표를 앞두고 있는 찰스슈왑의 현재까지의 상황에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에 GQG Partners라고 하는 찰스슈왑의 지분을 1%정도 가지고 있던 투자기관이 지난 달 은행위기 혼란 동안 슈왑의14억 달러 지분 전체를 매각했습니다. 블룸버그 데이터에 따르면 플로리다에 기반을 둔 투자 회사인 GQG Partners는 상위 15개 주주 중 찰스슈왑의 지분을 1%의 보유하고 있었으며 의미가 있는건 이 투자회사는 찰스슈왑의 그렇게 많은 지분을 가진 유일한 액티브 펀드 회사입니다.
먼저 GQG가 미실현 손실에 대한 우려와 예금의 이익을 저해하는 움직임이 중개업의 미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지분을 매각했다고 하는데요. GQG Partners의 국제 책임자인 Mark Barker는 파이낸셜 타임즈에 주식 매각에 대한 질문에 "실제로 찰스슈왑이 망할거라고 생각을 하지는 않지만 은행위기에 대한 관점에서 찰스슈왑은 상당히 위험해 보인다"라고 말했습니다.
증권 신고서에 따르면 GQG는 2022년 3분기에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연말에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슈왑의 1,740만 주 가치는 14억 달러에 달했지만, 지분이 매각되었을 때 그 주식의 가치는 불분명하다고 하는데, 사실 저번달에 팔았던거라면 뭐 대량 50-60달러 근처에서 매각을 하지 않았을까? 라는 개인적인 추측을 해봅니다.
은행 라이센스를 보유한 투자 그룹인 Schwab은 지난 달 미국 정부가 SVB와 Signature Bank의 예금자를 보호하기 위해 개입해야 했던 위기기간 동안 가장 큰 타격을 입은 회사인걸로 유명하죠. Schwab 주식의 가치는 대규모 미국 국채를 포트폴리오에 대량 보유한 회사의 건전성에 대한 두려움이 극에 달한 3월 초 이후 약 3분의 1 하락을 했죠. 누가 그렇게 팔아재꼈는지 드디어 범인이 나왔습니다
우선 뭐 계속해서 슈왑의 고객들은 돈을 더 많이 주는 MMF와 같은 수익률이 높은 상품으로 현금을 이동하고 있는데 뭐 저였어도.. 은행보다 더 안전한 국가가 담보하는 이자율이 더 높은 예금으로 이동하는게 뭐 당연하다고 생각됩니다.
GQO의 책임자 Barker는 "머니마켓 펀드로의 모든 자금 유입으로 Charles Schwab은 예금 수익을 잃고 있습니다."라고 말을 했구요. Schwab은 거기에 대한 논평을 거부했습니다. 뭐 이미 예전에 슈왑에서 입장표명을 확실히 한 상황이라 뭐 똑같은 얘기를 하는게 굳이 의미가 있나 싶어서 얘기를 안한거 같기도 합니다.
우선 이번주 제이피모건과 씨티그룹 웰스파고 세개의 은행은 실적이 정말 잘나왔는데요. 현재 슈왑에 남아있는 투자자들과 예금자들은 다음 주에 미국 기업들이 1분기 실적을 발표할 때 지역 은행 부문과 Schwab에 가해진 피해에 대해 보다 명확한 시각을 갖게 되겠죠. 그러니까 다음주 4월 17일 월요일에 발표되는 슈왑의 실적은 정말 정말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우선 다시 한번 정리하자면 Schwab은 연말에 총 3,300억 달러의 모기지 담보 채권, 재무부 및 채무 증권을 보유했었는데요. 그러나 연준이 금리를 인상함에 따라 하락한 채권 가격 하락을 고려하여 인하했을 때 포트폴리오의 가치는 3,070억 달러가 됩니다. 이러한 미실현 손실 중 일부로 인해 2021년 같은 시점의 460억 달러 이상에 비해 연말에 슈왑의 자본은 270억 달러로 감소한 것으로 파일에 나타났습니다.
금리 상승은 Schwab의 채권 포트폴리오에 타격을 입혔을 뿐만 아니라 수익에도 악영향을 미쳤죠. 은행 예금은 지난해 17% 감소한 3660억 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이자 비용은 16억 달러로 3배 이상 증가하여 이익 마진에 도달했습니다. 적자가 날수도 있다는 이야기죠. Schwab은 이달 초 고객에게 보낸 서한에서 금리 상승과 고객이 수익률이 낮은 예금 계좌에서 MMF 및 예금 증서로 현금을 이동하면 수익에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현재 슈왑은 자사의 사업이 "매우 견고"하며 3월에 530억 달러의 고객 자금이 회사로 유입되어 그 달에 거의 기록적인 수치라고 말을 하는데 이로써 Schwab은 고객이 예금에 더 많은 현금을 보유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다른곳에서 돈을 빌려올 필요가 없게 되어 자금 조달 비용이 궁극적으로 감소하여 전반적인 수익 성장을 되살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Schwab은 고객들에게 "1분기가 어려운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인 투자자 정서, 지속적인 금리 인상, 지역 은행 혼란을 반영하여 Schwab의 고객 중심 성장 모델은 견고하게 유지되고 잘 수행되고 있습니다."라고 고객에게 말했습니다. 뭐어쨋거나 다음주 월요일에 발표되는 슈왑의 실적을 예상하기로는 놀랍게도, 14명의 분석가들이 수익 전망을 하향 조정했습니다. Schwab은 1분기에 이전의 0.97달러에서 상당한 감소인 0.82달러의 주당 이익 수치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우선 슈왑의 21년과 22년 고객들이 예탁금을 빼가던 하반기부터 자산을 한번 비교해보면 확실히 현금성자산이 629억 75백만달러에서401억달러 정도로 낮아진 모습을 볼수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전체 자산은 6672억달러에서 5517억달러 정도로 낮아졌습니다. 올해 1분기에 계속해서 자금이 유출되었다고 하면 이 수치는 더 낮아졌을거 같은데요. 근데 생각보다 슈왑의 월간 보고서를 보면 고객 자산은 작년 9월 10ㄹ 11월과 비교했을때 오히려 올라가는 모습을 볼수가 있습니다.
우선 이런 상황에서 올해 2월 기준 슈왑의 전년 대비 투자 및 자문 서비스 성장률은 각각 2%, 3% 떨어졌는데요 뭐 당연한 결과라고 봅니다. 가지고 있는 돈을 지키는것만 해도 슈왑은 엄청 잘한건데요. 그런데 자문 및 투자자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금융 기관의 수익 조합에서 변동성이 가장 낮은 구성 요소로 간주되므로, 1분기 동안 이러한 사업부가 주요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어집니다.
어쨋거나 월요일이 가봐야 알겠지만 슈왑의 실적발표는 다음주 시작하는 주식시장에 굉장한 영향을 줄거라고 생각이 되는데요. 이정도로 영상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구독을 부탁드립니다.
'투자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장기국채 TLT에 투자하는 이유 (0) | 2023.04.22 |
---|---|
내가 부동산 투자에 집착하지 않는 이유 (리츠투자) (2) | 2023.04.20 |
경기침체에 대비하는 방법 (채권투자) (0) | 2023.04.15 |
금융위기로 추가할만한 금융주 3가지 추천 (1) | 2023.03.25 |
월배당 리얼티인컴 VS 분기배당 WP.Carey (미국리츠 분석) (1) | 202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