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일기

월 50만원으로 노후준비 하기 / 한국형올웨더포트폴리오(feat 연금저축펀드)

KOOKIE ENGLISH 2023. 2. 11. 11:33

월 50만원으로 노후준비 하기

 

안녕하세요 서른일기입니다. 한주 잘 지내셨나요. 오늘은 무슨 영상으로 이야기를 해볼까 하다가 20 30이 노후준비를 어떻게 하면 좋을까라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우리나라에는 국민연금제도가 있어서 노후에는 국민연금을 받고 살아갈 수 있고 또 노후수당 등 다양한 노후에 보장되는 제도들이 안전망을 치고 있지만 사실 30대인 저는 국민연금에 대해서는 그렇게 신뢰가 가지 않는데요. 아마 다들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으실겁니다.

 

 

그래도 뭐 대한민국에서 살면서 의료보험이나 교통이나 좋은 인프라를 누리고 있는만큼 그냥 한달에 나가는 세금을 안내기도 뭐하고 그렇습니다. 그래서 하고자 하는 요지는 노후는 개인이 준비해야한다는 지론을 가지고 있는데요. 그만큼 국가도 모든 국민의 노후를 책임져주지 못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세제혜택으로 개인들의 노후준비를 격려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연금저축인데요. 저같은 경우는 작년부터 4대보험을 들면서 일을 시작했기 때문에 세액공제를 받는다는 목표로 연금저축펀드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우선 연금저축 펀드는 23년도 기준 연 600만원을 납입하면 최대 세액공제를 받을 수가 있습니다. 

 

우선 연금저축계좌는 누구나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장점은 직접 운용할 수 있는것인데요. 우리가 증권계좌에서 연금저축계좌를 만든다면 그 안에서 연간 600만원을 넣어놓고 아무것도 안하기만해도 세액공제가 적용됩니다. 그리고 그 안에서 개별주식은 투자할 수 없지만, ETF 리츠, 펀드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가 가능합니다. 

 

 

우선 그렇다면 연봉이 5,500만원 이하 직장인이 600만원을 연간 납입을 하고 나면 세액공제율이 16.5%이니까 90만원을 이미 벌고 들어가는거라고 보면 됩니다. 주식을 매수하자마자 16.5% 수익을 내고 들어가는거 자체인데 안할 수가 없죠. 아 생각해보니 나중에 55세 이후에 연금을 수령한다면 5.5%의 연금소득세를 내야하니까 11% 수익을 내고 들어가는걸로 되겠죠. 20 30 직장인이라면 안하면 정말 손해입니다. 대신에 이 계좌는 장기로 끌고 가야하니까 적어도 55세까지는 들어간 돈을 쓸 수 없어서 장기투자로 운용해야하니 상황에 따라 잘 운용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그렇다면 월 50만원으로 연금저축을 할때 어떤 자산을 사면 좋을지 한번 이야기해보도록 하겠는데요. 투자 성격에 따라서 공격적인 투자 성향인 사람들은 나스닥 100을 투자하는 TIGER 미국나스닥 100 ETF를 투자하시는 분들도 있고 혹은 미국 S&P500에 투자하는 TIGER미국 S&P500에 투자할수도있고 자유롭게 운용이 가능합니다. 

 

연금저축펀드 운용 방법

우선 증권계좌에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계설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삼성증권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한국형 자산배분으로 잘 만든 전략입니다. 구성종목은 이와 같습니다

 

 

한국형 올웨더

  • 한국주식 17.5%  KOSEF 200TR
  • 미국주식 17.5%  타이거미국 S&P500
  • 한국채권 25%  국고채 10년
  • 미국채권 25%  10년물
  • 금 15% 

 

한국형 올웨더의 장점은 한국주식과 미국주식 그리고 한국 채권과 미국채권과 금을 골고루 섞어서 운용하는것인데, 이게 왜 좋은 전략이냐면 달러자산과 원화자산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상태이기때문에, 달러강세에는 달러투자를 해놓은 미국주식과 채권이 빛을 바라고 달러약세 및 원화강세가 지속될때는 한국주식과 한국채권이 좋아집니다. 그리고 경기침체때는 채권이 올라주고 인플레이션이 올때는 원자재인 금이 올라주면서 서로 상관관계가 다른 자산들을 한꺼번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만약에 연간 투자를 계속 진행하다가 예를들어 미국주식이 많아지고 한국주식이 적어지고 비율이 낮아진다면 그 낮아진 비율을 다시 원래 올웨더 자산배분 비율대로 납입을 하는식으로 더 많이 하락한 자산들에 돈을 추가하면서 저가매수를 하고 가격의 오른 자산들은 그냥 냅두면서 운용을 하는 방식으로 , MDD최대 낙폭률이 8%이내로 운용되면서 연간 복리수익률이 8%로 아주 안정적인 포트폴리오입니다. 

 

 

그렇게 월 50만원씩 8%의 복리수익을 내면서 30년동안 납입시 최종금액은 7억 400만원정도가 나오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 금액을  받게 되면 55세부터 연금을 수령한다면 3천 872만원정도인데 그 금액을 제하면 6억 6528만원입니다. 그 금액을 30년이든 40년이던 기간을 정해서 연금을 수령하시면 됩니다.

 

 

 

또 우리는 그동안 납입했던 국민연금이나 연금저축펀드가 아닌 다른 배당소득 등을 생각하면 꽤 괜찮은 노후준비 옵션으로 퇴직연금은 필수 테크라고 생각이 듭니다.  각자 구미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서 연금저축펀드를 운용한다면 나중에 55 이상이 되었을때 세제혜택을 받으면서 연금형식으로 월마다 돈을 받을 있는 마르지 않는 샘물같은 연금을 만들어 놓으실 있으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