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부터 주식을 시작하고 있다. 코로나가 시작된 이후 4월에 주식을 시작했으니까, 꽤나 저점에서 주식을 시작했었다.
2020년도 4월 SPY, QQQ 차트
이때 매수에 들어갔으니까 수익률이 많았다. 그리고나서 2021년 말까지 계속 유지를 해오다가 단기 트레이딩도 하면서 돈도 까먹고 하면서 그냥 주식을 안하고 싶었다. 왜냐하면 스트레스를 계속받고 사는데 계속 영향을 주니까...
그렇게 알게 된것이 그냥 1년에 한번정도만 매매를 할 수 있는 정적자산배분이라는 개념을 알게되었다.
그중에서도 나한테 가장 잘 맞는 전략이 이 LAA (Lethargic Asset Allocation) 전략이다.
LAA 전략은 영구 포트폴리오(Permanent Portfolio)를 업그레이드 시킨 전략이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영구 포트폴리오와 유사한 형태로 운영된다. 영구포트폴리오도 1년에 한번씩만 매매할수있는 아주 좋은 전략이다.
LAA 전략 포트폴리오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자산배분을 각각 저기 퍼센티지로 분배를해서 자산을 운용하는 전략입니다.
1억이 있으면 25%인
2500만원을 IWD ETF를 매수하고
2500만원을 GLD나 IAU 금 etf를 매수
2500만원을 IEF ETF 미국 중기채를 매수
2500만원을 경제 상황에 따라 QQQ나 SHY ETF를 매수
주식과 금, 채권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은 영구 포트폴리오와 동일합니다. 마지막 25% 비중을 동적으로 운영하는 데에 차이가 있죠. 기본적으로 주식과 금, 채권을 매수 후 보유하면서 다양하게 변하는 경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경제 상황이 좋을 때는 나스닥(QQQ)을 보유하고, 좋지 않을 때는 단기 채권(SHY)를 보유하면서 수익률과 안정성을 높이는 방식을 선택하면 됩니다.
마지막 QQQ와 SHY ETF를 매수하는 기준!
전월 실업률 > 12개월 이동 평균 : 불황기
전월 실업률 < 12개월 이동 평균 : 호황기
S&P 500 > 200일 이동 평균 : 상승장
S&P 500 < 200일 이동 평균 : 하락장
실업률 데이터 확인) fred.stlouisfed.org/series/UNRATE
LAA 전략과 60/60 채권 포트폴리오를 비교해본 차트입니다!
LAA 전략이 우상향하고 있는 그래프가 보이시나요 ?
LAA 전략은 연간 복리 10.7%로 아주 안전하면서 꾸준한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MDD(최대손실률이) 15.2% 정도인데, 이정도 하락률은 투자에 필수불가결하게 때문에
많은 손실을 낮춰주는 전략이여서 저는 이 전략을 선택하게되었습니다.
MDD Drawdown Curve는 아래와 같습니다. 약 40년 동안 -10% 이상을 기록한 적이 7번 정도가 있습니다. 그 외에는 10% 미만의 손실이기 때문에 심리적으로도 견딜 수 있을 정도처럼 보여진다.
저는 개인적으로 정적자산배분을 선택한 이유가, 많은 손실을 견디기 어려워하는 성향의 투자자이기 때문입니다!
다들 각자의 방법으로 투자성공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투자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인공지능 투자 파파코 (QQQ, TQQQ, SOXL) (0) | 2023.03.01 |
---|---|
두번째 티스토리 구글애드센스 승인 방법 (수익공개) (0) | 2023.02.16 |
월 50만원으로 노후준비 하기 / 한국형올웨더포트폴리오(feat 연금저축펀드) (0) | 2023.02.11 |
배당은퇴를 위해 QQQ를 정리하고 SCHD로 갈아탔습니다 (1) | 2023.02.04 |
연금저축펀드 한국형 올웨더 포트폴리오 2개월차 운용 후기 / 수익률 공개 (8월 10일 - 46만원 매수)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