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이야기

미국 S&P 500은 계속 우상향할수밖에 없는 이유

KOOKIE ENGLISH 2023. 4. 29. 12:20

미국 S&P 500은 계속 우상향할수밖에 없는 이유

 

 

안녕하세요 서른일기입니다. 다들 한주 잘 지내고 계신가요? 정말 시간이 빠른거같습니다. 벌써 목요일 밤인데요. 내일만 일하면 이제 주말이 오게됩니다. 다들 화이팅하시기를 바랍니다. 오늘은 조금 거시적인 관점에서 이야기를 해볼까합니다. 요즘 제가 올리는 영상들은 경기침체 관련되서 주식비중을 줄이고 현금이나 채권비중을 높이자는 메세지를 많이 한거 같아서 이사람 숏쟁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하지만 저는 숏쟁이도 롱쟁이도 아니고 그냥 매크로환경에 따라서 어떤 투자를 해야 더 확률적으로 안전한지를 판단하는 보수적인 투자자입니다. 인삿말은 이정도로 하고 오늘은 주식시장이 계속 우상향할수밖에 없는 이유와 미국 S&P 500이 계속 우상향할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저는 지금 30대이고 주식시장을 많이 겪어 보지는 못했지만 근 3년간 주가그래프를 보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S&P 500인덱스는 일직선으로 올라가지는 않았지만 장기적으로는 항상 전고점을 갱신하고 올라가는 모습을 볼수가 있습니다.  1928년 이래로, 미국 주식 시장은 매년 9.8%씩 상승하고 있는데요. 

 

 

시장은 4년주기마다 대략 3번씩 상승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미국 증시가 명목 기준으로 하락한 20년 기간은 없었습니다. 그런데 왜 그럴까요? 주식 시장이 장기적으로 상승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저는 많은 사람들이 연준이 주식 시장이나 저금리를 통제한다고 생각하거나 어떤 거대 금융거인들이  조종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근데 진짜 단순하게 실제로 주식시장이 시간이 지날수록 상승하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가 점점 성장하고 기업들은 해가지나면서  더 많은 돈을 벌기 때문입니다. 자본주의 구조가 그럴수밖에 없습니다. 어느정도 인플래이션은 용인되면서 시중에 돈은 장기적으로는 계속 풀릴수밖에 없는데, 그 돈을 벌어들이는 주체는 국가나 개인보다는 정말 돈 잘버는 기업들인데요. 그 기업은 대부분 미국에 포함되어있죠. 

 

 

1928년 S&P 500의 주당 이익은 1.11달러였고 기업들은 배당금으로 주당 0.78달러를 지급했습니다. 그 당시에는 그렇게 하는 것이 불가능했지만, 만약 우리가 인덱스 펀드를 소유할 수 있었다면, 그것들은 그 당시 우리의 주당 현금 흐름이었을 것입니다. 그때 주식시장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지금과 비슷하게 시장에 대한 비관론과 긍정론을 가지면서 두 부류가 동시에 존재했었겠죠.

 

 

그런데 이 수치는 2021년 말까지 S&P500의 주당 순이익은 197.87달러와 배당금은 주당 60.40달러로 올랐습니다. 이는 지난 94년간 미국 증시의 수익이 연 6% 성장한 반면 배당금은 연 5% 성장한 것을 의미합니다. 주식 시장에서 투자자가 된다는 것은 기업의 이익과 현금 흐름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고객은 혁신, 투자 및 성장의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시장에서 가장 큰 주식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2014년 회계 연도에 Apple은 총 1,820억 달러 이상의 매출과 395억 달러의 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2021년 회계연도에 Apple의 매출은 3,860억 달러였고 회사는 947억 달러의 순이익을 냈습니다. 매출이 두 배 이상 증가한 반면 회사 이익은 140% 증가했습니다. 동시에 애플은 주주들에게 배당금 형태로 1,030억 달러 이상을 지급했습니다.

 

 

그리고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하는 것은 애플만이 아닙니다. 최근 수십 년간 많은 우량한 돈을 잘 버는 회사들은 자사주 매입이 증가하면서 이 숫자는 감소했지만, 1928년 이후 S&P 500 기업의 평균 배당률은 50% 이상입니다. 이는 기업들이 수익의 절반 이상을 현금자체를 배당금으로 주주들에게 지불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1982년 미국 주식시장 전체의 시가는 1조 2천억 달러였습니다. 애플만 해도 현재 2조 5천억 달러 이상의 가치가 있는데요. 주식 시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승합니다. 왜냐하면 기업들은 더 커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돈을 벌기 때문입니다. 주식 시장도 단기적으로 하락할 때가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상승합니다. 시기마다 상황이 다 다르지만 저는 굳이 지금 S&P 500 인덱스에 투자하고 있다면 굳이 주식을 매도해야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지금 상황에서 더 사기보다는 조금 시기를 보고 모아가는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는것이죠. 

 

광고

 

생각해보면, 주식 시장의 하락은 당장 슬플지 모르지만 꼭 벌어져야할 일입니다. 왜냐하면 저가로 주식을 매수할수 있기 때문이죠.  만약에 주가가 올라가기만한다면, 부의 재분배는 절대 일어나지 않을것이고, 가난한사람들은 부자가 되기 힘들고 부자들은 더욱더 부자가 되면서 빈부격차가 커질것이기 때문이죠. 

 

만약에 1928년 미국 주식 시장에 만 달러를 투자했다면 오늘날 약 6천 6백만 달러로 성장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돈이 불어나는 과정에서  과정에서 발생한 하락구간의 피가 낭자했던 해를 보면 살벌합니다.  역사적인 S&P 500의 수익률을 살펴보면, 1960년대까지 거의 옆으로 기울었습니다.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올라가기 시작하는데요 시작되었습니다.

이 시기는 사회보장에 대한 생각이 정말 실효성있게 적용하기 시작된 시기입니다. 우리나라에 연기금이 있듯이 미국에도 노후를 위해 연금을 운용하는데요.  이렇게 막대한 자금이 유입되는 연기금은 일반적으로 투자 가능한 주식과 채권에 투자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자산 등급에 대한 자연적인 수요가 있으며 가격은 상승할 수 밖에 없습니다. 사람들이 계속 일하고 이러한 펀드에 기여하는 한, 주식 시장은 상승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 펀드들은 또한 법에 의해 구매와 보유라는 하나의 전략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공매도를 할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처럼 공매도가 판을 치는 주식시장과는 다릅니다. 그렇게 공적자금들이 들어와있는 S&P500 INDEX가 장기적으로 내려가는것은 미국의 정치와 국가에 있는 국민들의 노후 관련해서 굉장히 민감하고 예민한 부분이기때문에, 결국에는 이 시장이 무너지면 미국자체가 무너지는것이죠. 

 

 

현재 달러패권이 위협받고 중국의 위완화가 기축통화로서 달러를 누르려고 하는 상황이 이제 노골적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브라질, 유럽의 프랑스 등 미국의 기축통화인 달러에 대한 불만들이 많은 국가들은 이제 탈달러화를 시작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거의 100년동안 유지되어왔던 달러 패권이 쉽게 무너지는것은 불가능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국제간의 신용 즉 신뢰문제와 연결이 되어있는데요. 중국은 위완화를 기축통화로 사용하고 싶은 야심이 있지만, 그걸 실현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국가들과 스마트머니들의 신뢰를 쌓아야합니다. 근데 이미 내부적으로 경제가 초토화되어있는 중국과 국제적으로 하는 행동들을 봤을때 중국을 이용하면 이용했지 그 쪽으로 아애 붙어버리는 무리수를 두는 국가들은 아애 미국과 척을 지고있는 국가들만 가능하겠고, 시간이 지날수록 눈치를 보면서 더 강한 쪽에 붙을수밖에 없는게 현실입니다. 

 

현재 미국은 러우 전쟁에서 직접 참여하지도 않았지만 기술력과 무기로 압도적으로 약세인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에게 대항하고 있는 모습들을 보면 과연 중국과 앞으로 대리전을 펼칠지도 모르는 우리나라나 대만 일본 세나라만으로도 중국은 고전할거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요즘 지속적으로 미국은 중국에게 질거같다는 레이달리오와 저는 의견이 좀 다르고  달러패권이 무너진다는 얘기들이 많은데, 조금 속단하기에는 너무 봐야할 뷰들이 많습니다.

 

 

 

어쨋거나 주식시장에서는 신용이 가장 중요한데, 중국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과연 중국 기업들의 회계보고들과 미국 기업들의 연도별 회계 보고들을 보면서 어떤 생각을 할지 궁금합니다. 당연히 미국 시장이 훨씬 투명하다는것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 자국내의 돈의 유입이 아닌 전세계에서 미국 기업들의 주식들을 사려고 하는 사람들과 기관들과 연기금들이 있는것이죠. 저는 개인적으로 제가 살고 있는 기간에는 미국 S&P 500 투자하는게 노후준비에 탁월하다고 생각을 여전히 하고 있습니다. 

https://youtu.be/2lq-0MXn2y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