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이야기

미국 부채한도협상이 결렬되면 발생되는 일?

KOOKIE ENGLISH 2023. 5. 17. 23:30

안녕하세요 서른일기입니다. 요즘 부채한도 이슈로 굉장히 시끄러운데요. 미 하원 의장과 바이든 대통령이 두번쨰 회동 이후 부채한도 협상에 실패했는데요. 백악관에서 회동을 했고 바이든과 공화당의 케빈 메카시 하원의장 그리고 미치 매코널 상원 원내대표, 민주당의 하킴 제프리스 하원 원내대표와 척 슈머 등 부채한도 상향 문제에 대한 협상을 재개 했지만 안타깝게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다행인것은 매카시 하원의장은 기자들에게 이번 주말까지는 협상을 타결하는게 가능하다고 이야기를 했습니다. 짧은 시간에 할일이 많기 때문에 협상이 빨리 타결되기가 쉽지 않다고 했고 슈머 원내대표도 대화도 좋았고 생산적이였다면서 공화당과 민주당은 둘다 디폴트라는 끔찍한 선택지에 가고싶지 않아하는 부분은 서로 의견이 맞아보입니다.

 

 

부채한도 협상이 결렬되고 미국이 디폴트 선언과 신용등급 강등이 되었을때 상황에 대해서 주식과 채권가격이 어떻게 될지 궁금해하실분들이 있을거 같아서 한번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만약에 그럴일은 없겠지만 부채한도협상이 결렬되고 시일이 많이 지나고도 협상이 되지 않았을때 결론적으로 이야기하면 주식시장은 폭락하게 됩니다. 그리고 채권물은 단기채권 금리가 폭등하고 단기채권가격이 폭락합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장기채권금리는 폭락하게 되고 장기채권 가격이 폭등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현재 미국 단기물 채권금리의 급등은 부채한도협상에 대한 걱정때문에 올라가고 있는것이죠. 단기채권물에 유입된 금액들은 단기로 이자를 높은금리에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들어간 돈이기 때문에, 부채한도협상결렬과 디폴트 사태가 발생했을때 미국은 단기이자를 지급할수있는 여건이 되지 않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반면에 단기채권이나 시장 지수 주식에 들어가 있는 돈들은 안전자산인 금이나 장기채권으로 향하게 될것이죠. 어쨋거나 시장도 부채한도협상이 언젠가는 다시 협상이 잘 될것을 알기 때문에 상식적으로 지금보다 10년이나 20년후에 돈을 더 안전하게 받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항상 시장은 심리로 움직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2011년에도 미국은 부채한도협상이 잘 되지 않았았는데요. 11년 4월부터 7월 31일까지 민주당과 공화당은 시간을 질질 끓다가 결국에는 8월 2일 오바마 대통령 합의안에 법안을 서명했고, 미국 신용등급을 강등 시킨 무디스나 피치는 다시 신용등급을 유지하는쪽으로 결정을 했었습니다. 11년도 4월 부채한도협상이 연일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하자 4월부터 8월까지 10년물 장기채권금리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럼 당연히 TLT나 IEF 중장기채권가격은 엄청 올라갔을겁니다.

 

 

 

30년물은 어떨까요 가차없이 엄청나게 채권금리가 폭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반면에 3개월 단기 채권금리는 부채한도 이슈가 지속적으로 협상결렬이 되는 기간동안 단기간 채권금리가 폭등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부채협상 타결후 다시 안정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현재 10년물 금리의 움직임은 어떤가요. 지루한 박스권에서 왔다갔다 하는 모습이 보이십니까 이번주 계속해서 10년물 금리가 내려가지 않고 올라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솔직히 어제 미국 소매판매가 발표되었고 예측치 전년대비 YOY 4.2%에서 1.6%로 엄청나게 하회한 모습으로 점점더 미국 소매판매는 수직낙하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MOM 전월 대비 0.8에서 0.4%로 하락한 모습으로 반토막이네요. 문제는 옆나라 캐나다 물가지수가 발표됬는데 전년대비 예측치 5.5%를 5.7%로 상회하였고 다행히 근원은 4.4%에서 4.1%로 낮게 나왔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대비 4.1%보다 4.4%로 높게 나오고 전월대비 0.4%에서 0.7%로 올라갔습니다.

 

 

 

 

유가가 워낙 왔다갔다리 하는 상황이라서 에너지와 음식을 포함한 지수가 높지만 다행히 근원은 낮아진 모습이라 다행힙니다. 채권금리가 다소 올라가고 있습니다. TLT와 TMF 가격은 계속 하락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우리는 여기서 채권을 팔아야할까요? 22년1월에 실생활에 연결된 회사들이 많은 다우지수는 정점을찍고 이제 점점 꺽이는 경기 지표들과 같이 커플링되면서 점점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아직 채권금리가 이제 장기적으로 보면 하락할것이라는 뷰는 전혀 달라지지 않았기 때문에 장기물 배당금 받으면서 기다리는 쪽이 유리해보입니다. 다들 스트레스 너무 받지 마시고 성투하시기를 바랍니다. 오늘도 영상시청해주셔서 감사하고 구독과 좋아요를 부탁드립니다. 

 

 

https://youtu.be/V-unHlbstk0